LGBTQ+센터 - 강동성심병원
진료 분야
성별불일치의 진단
성별확정 진료가 당사자에게 필요한 의학적 조치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성별불일치에 대한 정신건강의학적 진단보다는 의료진과 성별확정 진료를
원하는 당사자 간에 신뢰와 투명성에 기반한 상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 LGBTQ+센터를 비롯 국내의 성별확정진료를 하는 의료기관에서는 아직 성별확정진료를 시작함에 있어
성주체성장애(F64.0 또는 F64.9)의 진단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개인의 트랜지션 결정에 대한
다면적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의료, 사회적 인프라가 구축되면 정신건강의학적 진단을 확인하는 과정은 불필요해질 것입니다.
LGBTQ+센터에서는 퀴어 프랜들리한 병원 환경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과 심리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별불일치에 대해 진중히 탐색하고 진단서를 발부받을 수 있습니다.
소수자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정신건강의학적 문제에 대한 치료
우울장애, 불안장애, 수면장애, 중독장애, 급성 스트레스 반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소수자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정신건강의학적 문제에 대해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합니다.
성별확정진료 중에 발생하는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진료
신체의 변화를 가져오는 호르몬 치료나 성별확정수술 시에 정신건강의학적 진료가 필요한 경우, 긴밀한 협진체계를 통해 다학제적 진료를 제공합니다.
사회사업팀 상담
강동성심병원의 사회사업팀에서는 진료과정에서 성소수자분들이 느끼는 심리사회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가족관계의 어려움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에 필요한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