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BTQ+센터 - 강동성심병원

본문 바로가기

LGBTQ+센터 - 강동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성소수자의 정신건강

다양한 성별정체성과 성적 지향

성별정체성(gender identity)'자신의 성별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이며, 성적 지향(sexual orientation)‘다른 사람에게 느끼는 지속적인 애정적, 성적, 낭만적, 감정적인 모든 끌림’을 의미합니다.

성별정체성의 경우 과거에는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표현만을 주로 사용했다면, 현재는 성별의 다양성을 존중하여 다양한 언어로 성별을 표현하고 있으며 따라서 젠더스펙트럼(gender spectrum)이라는 언어로 다양한 성별정체성을 아우르기도 합니다. 성적 지향의 경우도 기존의 동성애자, 이성애자 라는 표현을 넘어서 다양한 성적 지향을 포괄하는 언어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성별불일치(gender incongruence)는 정신질환이 아닙니다.

성별불일치는 출생시 지정된 자신의 지정성별(assigned gender at birth) 자신의 성별정체성(gender identity)이 일치하지 않을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성별불일치를 이전에는 병적인 것으로 인식하여 성주체성장애(gender identity disorder), 성전환증(transsexualism)이라고도 하였으나 , 현재는 모든 진단체계내에서 이것은 병리적인 것이 아니며, 다양한 성별정체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성소수자에게 정신건강의학적 케어가 필요한 이유

성소수자는 사회내에서 소수자로서 일상생활에서 높은 수준의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소수자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대표적인 집단입니다. 따라서 성소수자가 겪는 다양한 정신 건강 스트레스에 대한 전문적인 케어가 필요합니다.

1. Lee H., Operario D., van den Berg J. J., Yi H., Choo S., Kim SS. “HEALTH DISPARITIES AMONG TRANSGENDER ADULTS IN SOUTH KOREA”, ASIA PAC J PUBLIC HEALTH, 2020 MARAPR;32(2-3):103-110.
2. Yi H., Lee H., Park J., Choi B., Kim SS., “HEALTH DISPARITIES BETWEEN LESBIAN, GAY, AND BISEXUAL ADULTS AND THE GENERAL POPULATION IN SOUTH KOREA: RAINBOW CONNECTION PROJECT I”, EPIDEMIOL HEALTH, 2017 OCT 19;39:E2017046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