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BTQ+센터 - 강동성심병원

본문 바로가기

LGBTQ+센터 - 강동성심병원

호르몬 치료

여성화 호르몬 치료

여성화 호르몬 치료는

여성화 호르몬 치료는 자신에게 편안한 몸의 상태를 찾기 위해 에스트로겐이라는 여성호르몬과 남성호르몬 억제제를 투여하여 여성적 특징을 유도하는 치료입니다. 여성화호르몬 치료로 발생하는 신체변화와 위험성에 대해 숙지하여 스스로 호르몬치료에 의한 전반적인 이득이 위해보다 더 크다는 판단이 있을 때 치료를 시작합니다. 여성호르몬의 투약방법과 약제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국내 약제 수급에 따라 가능한 치료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성화 호르몬 치료로 기대되는 신체 변화와 예상 기간

에스트로겐 및 테스토스테론 저하제 기반 요법

남성화호르몬치료로 기대되는 신체 변화와 예상 기간
효과 시작 최대
지방 재배치 3~6개월 2~5년
근육량/근력 감소 3~6개월 1~2년
피부 연화/유분 감소 3~6개월 알 수 없음
성욕 감소 1~3개월 알 수 없음
자발적인 발기 감소 1~3개월 3~6개월
정자 생성 감소 알 수 없음 2년
유방 성장 3~6개월 2~5년
고환 용적 감소 3~6개월 가변적
성숙 모발 성장 둔화 6~12개월 > 3년
머리카락 증가 가변적 가변적
목소리 변화 없음

출처 : WAPTH SOC-8

여성화 호르몬 치료의 방법

여성화 호르몬 치료의 방법
투여방법 약제 투여주기
주사제 에스트라디올데포 2~4주 마다
겔제제 디비겔 매일 1~2포
경구약제 (여성호르몬 보충) 프로기노바 매일
경구약제 (남성호르몬억제) 알닥톤
안드로쿨
프로페시아
아보다트
매일

출처 : WAPTH SOC-8

남성화호르몬치료의 방법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와 관련된 위험

굵은 글씨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냄 (SOC-7에서 업데이트 함)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위험도 에스트로겐 기반 요법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정액 혈전색전성질환(VTE)
불임/난임
고칼륨혈증s
고중성지방혈증
제출증가
추가 위험 요인이있을 때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수막종c
다뇨/탈수s
담석증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고혈압
발기장애
추가 위험 요인이있을 때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2형 당뇨병
골감소증/골다공증
고프로락틴혈증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없거나 위험도가 불확실함 유방함 및 전립선암

c : 시프로테론 기반 요법, s : 스피로노락톤기반 요법

출처 : WAPTH SOC-8

성별확정 여성화 호르몬 치료 from A to Z


개인정보처리방침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