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BTQ+센터 - 강동성심병원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의 진행과정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의 진행과정
모든 트랜스젠더 또는 성별다양성이 있는 개인이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일부에서는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가 성별불일치(성별불쾌감, 디스포리아)를 경감시키는데 유의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는 신체에 장/단기적 영향을 미치며, 일부 비가역적 (호르몬 치료를 중단하여도 치료 전의 상태로
되돌아 가지 않음) 변화를 가져오기에 치료를 시작하기 전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LGBTQ+센터에는 세계트랜스젠더보건의료전문가협회( World Professional Association for Transgender
Health: WPATH) 의 “트랜스젠더·성별다양성이 있는 사람을 위한 건강관리실무표준(Standard of Care) 제 8판”의
“성별적합 호르몬 치료를 위한 성인평가기준” 에 따라 성별확정 호르몬 치료를 시행합니다.
-
1성별불일치의 진단 확인F64.0 또는 F64.9
강동성심병원 LGBTQ+센터 정신의학과 진단 또는 외부병원에서 진단받으신 경우 진단서 지참
-
2성별확정 호르몬 치료 동의서 작성
-
3호르몬 치료의 장/단점, 가능한 합병증,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안내
-
4생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및 생식능력 보존 방법 안내 생식능력 보존 방법 안내 링크
-
5내분비내과 진료
-
6호르몬 치료 시작 및 주기적인 모니터링
성별불일치의 진단 확인
성별확정 진료가 당사자에게 필요한 의학적 조치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성별불일치에 대한 정신건강의학적 진단보다는 의료진과 성별확정 진료를 원하는
당사자 간에 신뢰와 투명성에 기반한 상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 LGBTQ+센터를 비롯 국내의 성별확정진료를 하는 의료기관에서는 아직 성별확정진료를 시작함에 있어
성주체성장애(F64.0 또는 F64.9)의 진단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앞으로 개인의 트랜지션 결정에 대한
다면적 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의료, 사회적 인프라가 구축되면 정신건강의학적 진단을 확인하는 과정은 불필요해질 것입니다.
LGBTQ+센터에서는 퀴어 프랜들리한 병원 환경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과 심리검사를 통해
자신의 성별불일치에 대해 진중히 탐색하고 진단서를 발부받을 수 있습니다.